네트워크를 이용한 분산처리 시스템에 메시지 서비스를 하는 프로젝트를 찾다가 kafka를 찾게되었다.
원래 먼저 접근한건 activeMQ였으나, 느리고, 안정성이 떨어지고, 확장성이 안좋단 얘기가 많고, 더불어 프로젝트 2013년 이후로 업데이트 되고 있지 않은것을 파악하고
다른 메시지 서비스를 찾다가 이러한 기능을 하는 서비스중 가장 활발하고 유명한 기업들이 안정성과 확장성, 퍼포먼스등의 장점을 활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카프카를 선택하게 되었다.
N:M관계의 Pub/Sub 비동기 메시지 통신 모델을 사용하고 있으며, Zookeeper를 이용한 메시지 하드디스크 보관을 통한 안정성을 갖고 있고, 간단한 확장구성등의 메리트를 갖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주키퍼는 카프카의 메타데이터 저장과 상태관리정보를 갖는다(필수 코디네이션 애플리케이션)
메시지관리 뿐만 아니라 실시간에 가까운 데이터 스트리밍기능으로 마이크로서비스 구조에도 watcher로 쓸 수 있다.
카프카, 데이터 플랫폼의 최강자 책을 참고해서 학습 중이다.
개요와 몇 가지만 테스트해보고 나머지는 구글링으로 작성할 예정이다.
위 내용도 개요를 참고하여 보고싶은거만 읽어낸 것 같아 걱정스럽긴하지만.. 더 자세한건 하다보면 알게될거 같고, 내가 알고싶은 방향을 정리한 것으로 생각하고 읽어가야겠다.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mcat 에서 webapp이 선언한 web.xml에 기술된 error-code 400에 대한 처리를 무시할 때 해결 방법 (0) | 2018.07.30 |
---|